https://www.acmicpc.net/problem/10816
10816번: 숫자 카드 2
첫째 줄에 상근이가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수는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
www.acmicpc.net
문제
숫자 카드는 정수 하나가 적혀져 있는 카드이다. 상근이는 숫자 카드 N개를 가지고 있다. 정수 M개가 주어졌을 때, 이 수가 적혀있는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수는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0보다 작거나 같다.
셋째 줄에는 M(1 ≤ M ≤ 500,000)이 주어진다. 넷째 줄에는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인지 구해야 할 M개의 정수가 주어지며, 이 수는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이 수도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0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M개의 수에 대해서, 각 수가 적힌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0
6 3 2 10 10 10 -10 -10 7 3
8
10 9 -5 2 3 4 5 -10
예제 출력 1
3 0 0 1 2 0 0 2
배열안에서 특정 요소를 효율적으로 찾기 위해 이진 탐색 응용한 LowerBound & UpperBound를 사용했습니다.
- LowerBound : 특정 요소가 시작되는 인덱스
- UpperBound : 특정 요소의 다음 인덱스
- ex) [1, 2, 3, 3, 4, 5] 에서 3을 찾는다면 LowerBound = 2, UpperBound = 4
뿌듯한 점은 문제의 의도 대로 풀었다는 것!
다른 분들은 LowerBound & UpperBound를 이용해도 시간 초과 난다고 입력값을 해쉬테이블로 만들어놓고 그 숫자를 세거나 배열로 만들어 놓거나 했는데 저는 되더라구요... 👏
정렬된 배열에서 UpperBound 에서 LowerBound를 빼주면 중복된 숫자의 갯수를 알 수 있습니다. 👍
코드
var n = Int(readLine()!)!
var nNums = readLine()!.split(separator: " ").map{ Int(String($0))! }.sorted()
var m = Int(readLine()!)!
var mNums = readLine()!.split(separator: " ").map{ Int(String($0))! }
var answer = ""
func lowerBound(_ element: Int, in arr: [Int]) -> Int {
var start = 0
var end = arr.count
while start < end {
let mid = (start+end) / 2
let val = arr[mid]
if val < element {
start = mid + 1
} else {
end = mid
}
}
return end
}
func upperBound(_ element: Int, in arr: [Int]) -> Int {
var start = 0
var end = arr.count
while start < end {
let mid = (start+end) / 2
let val = arr[mid]
if val <= element {
start = mid + 1
} else {
end = mid
}
}
return end
}
mNums.forEach { num in
answer += "\(upperBound(num, in: nNums) - lowerBound(num, in: nNums)) "
}
print(answer)
'알고리즘 > 이진탐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805 나무 자르기 - Swift (0) | 2022.02.21 |
---|---|
백준 1654 랜선 자르기 - Swift (0) | 2022.02.20 |
이진탐색 LowerBound, UpperBound 이해하기 - Swift (0) | 2022.02.19 |
백준 1920 수찾기 - Swift (0) | 2022.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