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874
1874번: 스택 수열
1부터 n까지에 수에 대해 차례로 [push, push, push, push, pop, pop, push, push, pop, push, push, pop, pop, pop, pop, pop] 연산을 수행하면 수열 [4, 3, 6, 8, 7, 5, 2, 1]을 얻을 수 있다.
www.acmicpc.net
문제
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 임의의 수열이 주어졌을 때 스택을 이용해 그 수열을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순서로 push와 pop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 줄에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열을 이루는 1이상 n이하의 정수가 하나씩 순서대로 주어진다. 물론 같은 정수가 두 번 나오는 일은 없다.
출력
입력된 수열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한 줄에 한 개씩 출력한다. push연산은 +로, pop 연산은 -로 표현하도록 한다. 불가능한 경우 NO를 출력한다.
풀이방법
문제를 보면 주어진 입력 == 1부터 n까지 늘어놓은 수열을 만들수 있는지 확인하는 문제입니다.(단 조건을 지키면서)
조건1 : 스택에 push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
예제 입력을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예제 입력 1
8
4
3
6
8
7
5
2
1
1 2 3 4 5 6 7 8 -> 4 3 6 8 7 5 2 1 가능??
처음에 4라고 해서 4부터 넣으면 스택이니까 조건 때문에 1 2 3을 못넣으니까 1부터 N까지 수열을 못만듭니다.
그러므로 4를 스택에서 1 부터 4까지 쌓습니다. + + + +
4 -> push 1 2 3 4 [남아 있는 스택]
엇 그럼 스택의 마지막 값이랑 input이랑 같아졌죠? 그럼 스택에서 빼줍니다. + + + + -
pop 1 2 3
그 다음 입력 값은 3 이네요. 근데 스택의 마지막 값이랑 input이랑 같네요. 빼줍니다. + + + + - -
pop 1 2
그 다음 입력 값은 6 이네요. 아까 스택은 오름차순으로만 넣을 수 있다고 했는데 4까지 넣었었으니까 5 6 을 넣습니다. + + + + - - + +
다시 스택의 마지막 값이랑 input이랑 같아졌으니까 빼줍니다. + + + + - - + + -
pop 1 2 5
그 다음 입력값은 8 입니다. 6까지 넣었었으니까 7 8 을 넣습니다. 또 같아졌으니 + + + + - - + + - + + -
pop 1 2 5 7
그 다음부터 입력값이 7 5 2 1 이네요. 엇 스택에서 남은 값이랑 완전 일치 하네요.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면 못만드는 경우는 어떤 경우 일까요?
예제 입력 2
5
1
2
5
3
4
1까지 push후 1 빼기 + -
남아 있는 스택은 [ ] 비어있습니다.
아까 1 까지 했었죠? 1부터 2까지 push 한 후 2 빼기 + - + -
남아 있는 스택은 [ ] 비어있습니다.
2까지 했었으니까 2부터 5까지 push한 후 5빼기 + - + - + + + -
남아 있는 스택은 [3, 4]
그 다음은 3, 엇 이번에 꺼낼 것은 4인데 다르네요.. 못만드는 수열입니다.
아하 입력이랑 스택의 마지막이랑랑 비교해서 다르면 중단하면 되겠네요. 코드로 봅시다.
Swift
let n = Int(readLine()!)!
var input = [Int]()
for _ in 0..<n {
let num = Int(readLine()!)!
input.append(num)
}
func sol() {
var stack = [Int]()
var answer = [Character]()
var count = 1
for i in 0..<n {
// 입력 값이 count보다 크면 전에 넣었던 수부터 count 반복해서 스택에 넣어줍니다.
while count < input[i] {
stack.append(count)
answer.append("+")
count += 1
}
// 스택의 마지막 값과 입력값이 같으면 꺼내줍니다.
if stack.last == input[i] {
stack.removeLast()
answer.append("-")
}
// 스택의 마지막 값이 다르면 못만드는 수열입니다.
else {
print("NO")
return
}
}
for j in answer {
print(j)
}
}
sol()
'알고리즘 > St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828 스택 - Swift (0) | 2022.02.06 |
---|---|
백준 11899 괄호 끼워넣기 (0) | 2022.01.26 |
백준 17413 단어 뒤집기 2 (0) | 2022.01.24 |
백준 3986 좋은 단어 (0) | 2022.01.22 |
백준 9012 괄호 (0) | 2022.01.19 |